[Swift]: Designated init, Convenience init, Required init
2022. 11. 10. 18:29
iOS
Swift 에서 initializer 들의 종류를 알아보자!! Designated init, Convenience init, Required init 이렇게 세가지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Designated init은 객체 모든 프로퍼티의의 값을 함수 구문 안에서 정해주는 initializer 이다. Convenience init은 함수 내부에서 객체의 모든 프로퍼티를 코드로 정해주기 귀찮아서 Designated init을 사용하고 싶을 때 쓰는 것이다! Required init은 자신을 상속받을 클래스들에게 반드시 선언해줬으면 하는 initializer 가 있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Designated init 객체 안의 모든 프로퍼티의 값들을 초기화해줘야 하는 initializer다! 옵셔널 타입..
[UIKit] : Scroll View content 페이지 넘기기 (page Control 사용)
2022. 8. 23. 17:09
iOS/UIKit
아래 영상처럼 Scroll view 를 사용해서 내용들을 페이지를 넘기듯이 넘겨보자! 주로 예시를 들면 베너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UIScrollView 와 UIPageControl 들을 생성해주자 생성과 동시에 frame 도 정해주자 class ViewController: UIViewController{ let scrollView : UIScrollView = { let scrollView = UIScrollView() //isPagingEnabled를 설정해주어야 페이지를 넘기듯이 넘기듯이 넘길 수 있음 -- 중요 scrollView.isPagingEnabled = true return scrollView }() let pageControl : UIPageControl = { let pag..